연차수당계산법 간단하게 확인!
안녕하세요. 오늘은 연차수당계산법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. 회사를 다니시는 직장인분들은 월급 외 추가수당 및 보너스 등 추가로 받는 돈들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연차수당 입니다. 연차 를 사용하지 않은만큼 수당을 받는 것인데요. 연차수당계산법 은 어떻게 되며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아래 내용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^^
연차수당계산법 확인하기!
연차에 대한 개념을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직장인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지는데 이 15일간의 휴가를 연차입니다. 근로기준법에 나와있기로는 1년미만인 근로자 or 1년간 80% 미만 출근한 직장인에게는 1개월 에 1일 유급휴가를 주어야된다고 나와있는데요.
직급이 높아짐에 따라 유급휴가를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. 직급별로도 조금씩 차이가 있어요. 그런데 나에게 주어진 연차 를 사용하지 않는다면? 당연히 이에 가치에 맞게 돈으로 지급해줘야합니다. 이것을 연차수당 이라고 하는데요. 1일에 얼마정도 받을 수 있는지 아래 내용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우선 주5일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월급 250만원 받는 사람이 연차수당 을 얼마 받을지 계산해보겠습니다.
이때 월소정근로시간은 209 시간이 되고 250만원 / 209시간 을 해주면 시급이 11,960원이 나옵니다.
이를 하루 8시간 근무 기준으로 일급을 계산하면 95,680원이 나옵니다. 그리고 연차일수를 곱하여 내가 사용하지 않은 연차 일수를 곱하면 됩니다. 즉 15일 전부 사용하지 않았다면 95680 * 15 = 약 143만원 이 되겠죠.
연차수당계산법 은 월급을 일급으로 바꾸어 연차일수를 곱해주면 간단히 계산됩니다~
참고하여 궁금하셨던분들은 계산해보세요.^^
※ 인기소식 더보기